본문 바로가기
스크랩

[주식] 중앙에너비스 - 국제유가상승으로 인한 수혜 , 코스피 3000 깨짐

by sueflower 2021. 10. 5.
반응형

 

 

" 본 게시글은 , 저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저의 공부용으로 작성한 것 입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어제 나스닥이 나락을 가더니, 코스피 3000이 깨졌다.

나스닥이 지금 하락하는건 너무 많은 요소가 있고, 그 미래를 알 수 는 없다. 

또 어떻게 보면 사실 작년에 엄청나게 급등해서 3000으로 끌어올렸는데 , 너무 많이 올랐으니 당연히 자본시장의 흐름에 따라 조정받았어야 했다. 

나는 이렇게 될걸 조금 ! 예상 해서 주식에 많이 두지 않아서 피해는 작지만 슬픈건 매한 가지 ^^

 

나는 지금 당장 주시하고 있던 주식을 사자! 이것 보다는 일단 상황을 관망하고 있는게 더 좋은 것 같다. 

솔직히 작년에 코로나로 인해서 사람들이 많이 주식에 유입이 되었는데

이번 위기로 인해서 사람들이 버틸지 아니면 손털고 나갈지는 아무도 모를듯 

 

근데, 이런 와중에 상치는 주식이 있었다.

대단하다 

 

 

추천 : 네이버 증권

 

중앙에너비스는 말그대로 석유 파는 회사이다

일반유와 LPG를 사서,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도매 및 충전소,주유소 를 운영하고 있다.

 

 

 

 

 

출처 : 조선 비즈 

 

중앙에너비스가 상승한 이유는

유가 상승이다. 

 

 

출처 : 네이버 증권

그도 그럴것이 

앞서, 충전소나 주유소를 운영하고 있다고 했는데, 역시 매출구성도 유류판매부문이 대부분을 차지 한다. 

 

내생각엔 이 주식은 

주식 재무제표를 분석하는것 보다는

유가 테마주라고 생각하고, 

후에 유가가 다시 안정화하고, 급등할 조짐이 보일 시에

유가 하락 -> 사고

유가 상승 -> 팔고

 

일단 킵해두고 다음기회를 노리거나.

조금만 냠냠 먹고 싶으면 지금 살짝 들어가는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기두 .. ? 

 


 

그이유는 일단 당분간은 유가 상승세가 지속할 것 같다, 

 

그이유는 

 

1. 코로나 백신접종률 상승 및 세계 공장 정상화 

2. 증산 계획 없음 합의

3. 태풍 아이다 ->멕시코만 에서의 원유와 천연가스 생산 제한

 

 


1. 코로나 백신접종률 상승 및 세계 공장 정상화 

 

출처 : GS 칼텍스 블로그

 

최근 1년간 국제유가 추이를 보면 우상향을 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증가 등에 따라, 산업이 원유 수요 회복 기대감으로 인해 증산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으나

최근 증산하지 않기로 합의 본 것 같다.

 

출처 : GS칼텍스

 

작년에 코로나로인해, 수많은 해외 공장들이 셧 다운이 되고

-> 원유 수요 감소 -> 생산량 감소-> 코로나 백신접종룔 증가 및 세계 공장 다시 활발히 발동 -> 원유 수요 증가 

-> 원유생산량 정체 -> 가격 폭등! 

 

출처 : GS칼텍스

 

그리고인해 위의 그래프 처럼 공급량<수요량 이 되어서 가격이 폭등한 것이다. 

 

2. 증산 계획 없음 합의

 

출처 : 이데일리

그런데 추가 증산은 없다고 합의를 하였으니 공급부족 현상이 지속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한다. 

 

3. 태풍 아이다 ->멕시코만 에서의 원유와 천연가스 생산 제한

 

 

출처 : 에너지 경제 

 

미국에 허리케인 아이다가 강타한 이후 멕시코만 에서의 원유와 천연가스 생산이 제한 -> 에너지 공급 부족 우려 

출처 : 하나금융투자 리포트

 미국 의 상업용 원유 재고와 전략비축유(SPR) 모두 감소세이다. 

자연재해로 인한 차질을 배제하더라도 미국 셰일 기업들이 신규 투자를 지양 ->  원유 생산량은 느린 상승폭이다. 

 


원래 당연히 산유국들은 자신의 이익을 챙겨야 하니 

지금의 입장을 유지하는게 맞는거 같기도 하면서 

앞으로는 어떻게 되려나 했을때는

당분간은 유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 같으니

유가 수혜기업에 들어가는게 맞는것 같기두 하다.

왜냐하면 지금 코스피가 떡락 중이라

단기적인 수익을 내기위해서 

다른 마땅한 대안이 없는것 같기두 한대

 

 

나는 근데 차라리 지금 시장을 관망하다가

평소에는 못샀던 다른 주식을 사는게 더 좋은것 같기두하다.

 

 

 

 

반응형

댓글